언리얼리스트의 유럽, 아이트래킹을 사용하는 리얼타임 시뮬레이션, 싱글 플레이
Unrealist's Europe, Real-time simulation utilizing eye-tracking device, Single-play
Unrealist's Europe, Real-time simulation utilizing eye-tracking device, Single-play
언리얼리스트의 유럽은 아이트래킹을 사용하는 리얼타임 시뮬레이션이다. 판데믹의 반복과 기후 위기로 해외 여행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진 미래에 ‘언리얼리스트의 유럽’이 메타버스 관광상품으로 판매된다. 언리얼리스트는 이 상품을 만든 가상의 회사로, 시간과 돈에 쫓기는 21세기의 관광 경험을 정확한 고증과 각색,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옮겨 놓았다고 여행 상품을 홍보한다. 스크린 앞에 앉은 관객은 초점이 맞지 않은 유럽의 길목을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자신의 시선이 닿는 곳을 페달을 밟아 촬영한다. 아이트래커는 관객의 눈이 바라보는 곳을 표시하는데, 아이트래커와 상호작용하는 관객은 의식적으로 어떠한 지점을 바라보도록 안구를 물리적으로 통제하는 일의 어려움에 되려 부딪힌다. 한국에서 해외 여행, 특히 유럽 여행은 대체할 수 없으며 선망할 만한 경험으로서 표상되어 왔다. 그러한 기대와 함께 여행하는 관광객은 흘러가는 풍경을 경험으로서 붙들기 위한 몸짓들을 취하게 된다. 본 작업은 이러한 몸짓을 인터페이스와 관객 사이를 매개하는 ‘행위’의 차원에서 부감하려는 시도였다.
Unrealist's Europe is a real-time simulation using an eye-tracking device. In a future where overseas travel is practically impossible due to repeated pandemics and climate crises, 'Unrealist's Europe' is released as a metaverse tourism product. Unrealist, a fictional corporation said to have produced this product, promotes it as a travel experience that transfers the time- and money-hungry 21st-century tourism experience through accurate research, adaptation, and physical interface. The audience, seated in front of a screen, quickly moves along the streets of Europe and pushes pedals to take photos of where their eyes land. The eye tracker indicates where the audience's eyes are looking. Still, the audience interacting with the eye tracker encounters the difficulty of physically controlling their eyes to look at a certain point consciously. In Korea, overseas travel, especially travel to Europe, has been represented as an irreplaceable and desirable experience. Tourists traveling with such expectations make gestures to capture the blurrily flowing scenery as an experience. This work dissects such gestures on the dimension of social and bodily 'act' that mediates between the physical interface and the audience.







이야기: 상희, 성훈
협력 기획: 이민주
게임 디자인: 상희, 성훈
프로그래밍: 상희
사운드: 기나이직
사운드 디자인: 상희, 기나이직
브랜드 디자인: 김지연
퍼포머: 성지원
촬영: 백두호
도움 주신 분: loudcube, 스튜디오 르잔나비
후원: 서울문화재단
협력 기획: 이민주
게임 디자인: 상희, 성훈
프로그래밍: 상희
사운드: 기나이직
사운드 디자인: 상희, 기나이직
브랜드 디자인: 김지연
퍼포머: 성지원
촬영: 백두호
도움 주신 분: loudcube, 스튜디오 르잔나비
후원: 서울문화재단